Database/MariaDB(4)
반응형
-
Database/MariaDB
2025.10.23
MariaDB (conn=109827) Got a packet bigger than 'max_allowed_packet' bytes 에러 해결 방법
(conn=109827) Got a packet bigger than 'max_allowed_packet' bytes 에러는 대용량 데이터(예: 큰 BLOB, 첨부파일, 대량 INSERT/IMPORT) 쿼리 수행을 할 때 MariaDB / MySQL이 허용하는 최대 패킷 크기보다 큰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이 에러의 해결 방법으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양쪽에서 최대 패킷 크기(ax_allowed_packet)를 늘리고, 영구 반영을 위해서는 설정 파일에 기록한 뒤 DB 재시작을 하면 됩니다.최대 패킷 크기 확인하기현재 MariaDB /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최대 패킷 크기를 확인합니다.SHOW VARIABLES LIKE 'max_allowed_packet';SHOW VAR..
-
Database/MariaDB
2025.10.05
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오라클처럼 변경하는 방법(READ COMMITTED)
오라클처럼 MariaDB에서도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READ COMMITTED로 맞추려면 세 가지 범위(다음 트랜잭션, 세션, 글로벌/서버 기본값) 중 목적에 맞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오라클의 기본 격리 수준인 READ COMMITTED가 더 익숙해서 MariaDB 격리 수준을 READ COMMITTED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왜 READ COMMITTED 인가?오라클은 기본적으로 READ COMMITTED를 사용합니다.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은 커밋된 데이터만 읽게 해서 더티 리드를 방지합니다. MariaDB/InnoDB에서는 기본 격리 수준이 REPEATABLE READ인데 READ COMMITTED 격리 수준도 지원합니다. READ COMM..
-
Database/MariaDB
2025.09.28
1
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 쉽고 정확하게 완벽 총정리
동시에 여러 요청이 몰리는 서비스에서 "읽었을 땐 분명 A였는데, 잠깐 후 다시 보니 B로 바뀌어 있다" 같은 일이 한 번쯤은 있었을 것입니다. 이는 단순 버그가 아니라 MariaDB 격리 수준 설정과 트랜잭션 관리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포스팅을 끝까지 읽으면 MariaDB의 격리 수준에 대해서 한눈에 이해하고, 더티 리드 / 논리피터블 리드 / 팬텀 리드 같은 현상을 예방하는 안전한 설정과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패턴까지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이란?격리 수준이란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 간에 서로의 변경 사항이 어느 정도까지 보이도록 허용할지를 정하는 규칙입니다. 격리 수준이 높을수록 데이터 정합성이 강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성이 낮아지고 잠금 경합이 늘어..
-
Database/MariaDB
2025.04.08
윈도우에서 MariaDB 커뮤니티 설치하기
MariaDB는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MariaDB는 MySQL과 호환성이 뛰어나면서도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MariaDB 설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MariaDB 커뮤니티 다운로드MariaDB 다운로드 링크로 접속합니다. Download MariaDB Products & Tools | MariaDBDownload MariaDB products, connectors, and tools including Community Server, Enterprise Server, ColumnStore and MaxScale.mariadb.comVersion 및 OS 를 선택한 다..
반응형
반응형
-
Database/MariaDB 2025.10.23MariaDB (conn=109827) Got a packet bigger than 'max_allowed_packet' bytes 에러 해결 방법 (conn=109827) Got a packet bigger than 'max_allowed_packet' bytes 에러는 대용량 데이터(예: 큰 BLOB, 첨부파일, 대량 INSERT/IMPORT) 쿼리 수행을 할 때 MariaDB / MySQL이 허용하는 최대 패킷 크기보다 큰 데이터를 주고 받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이 에러의 해결 방법으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양쪽에서 최대 패킷 크기(ax_allowed_packet)를 늘리고, 영구 반영을 위해서는 설정 파일에 기록한 뒤 DB 재시작을 하면 됩니다.최대 패킷 크기 확인하기현재 MariaDB /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최대 패킷 크기를 확인합니다.SHOW VARIABLES LIKE 'max_allowed_packet';SHOW VAR.. -
Database/MariaDB 2025.10.05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오라클처럼 변경하는 방법(READ COMMITTED) 오라클처럼 MariaDB에서도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READ COMMITTED로 맞추려면 세 가지 범위(다음 트랜잭션, 세션, 글로벌/서버 기본값) 중 목적에 맞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라클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오라클의 기본 격리 수준인 READ COMMITTED가 더 익숙해서 MariaDB 격리 수준을 READ COMMITTED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왜 READ COMMITTED 인가?오라클은 기본적으로 READ COMMITTED를 사용합니다. READ COMMITTED 격리 수준은 커밋된 데이터만 읽게 해서 더티 리드를 방지합니다. MariaDB/InnoDB에서는 기본 격리 수준이 REPEATABLE READ인데 READ COMMITTED 격리 수준도 지원합니다. READ COMM.. -
Database/MariaDB 2025.09.28 1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 쉽고 정확하게 완벽 총정리 동시에 여러 요청이 몰리는 서비스에서 "읽었을 땐 분명 A였는데, 잠깐 후 다시 보니 B로 바뀌어 있다" 같은 일이 한 번쯤은 있었을 것입니다. 이는 단순 버그가 아니라 MariaDB 격리 수준 설정과 트랜잭션 관리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포스팅을 끝까지 읽으면 MariaDB의 격리 수준에 대해서 한눈에 이해하고, 더티 리드 / 논리피터블 리드 / 팬텀 리드 같은 현상을 예방하는 안전한 설정과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패턴까지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MariaDB 트랜잭션 격리 수준이란?격리 수준이란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 간에 서로의 변경 사항이 어느 정도까지 보이도록 허용할지를 정하는 규칙입니다. 격리 수준이 높을수록 데이터 정합성이 강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성이 낮아지고 잠금 경합이 늘어.. -
Database/MariaDB 2025.04.08윈도우에서 MariaDB 커뮤니티 설치하기 MariaDB는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MariaDB는 MySQL과 호환성이 뛰어나면서도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MariaDB 설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MariaDB 커뮤니티 다운로드MariaDB 다운로드 링크로 접속합니다. Download MariaDB Products & Tools | MariaDBDownload MariaDB products, connectors, and tools including Community Server, Enterprise Server, ColumnStore and MaxScale.mariadb.comVersion 및 OS 를 선택한 다..
반응형